<meta charset="utf-8">

 

문자 인코딩(character encoding), 줄여서 인코딩은 문자나 기호들의 집합을 컴퓨터에 저장, 사용할 목적으로 부호화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렇게 부호화된 것을 '문자 코드(character code)라고 한다.

 

컴퓨팅 초기에는 아스키(ASCII) 방식이 많이 사용되었고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로써 다국어를 제대로 표현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그래서 몇가지 확장용 인코딩들이 생겨나게 되었는데, 그 중, 근래에는 유니코드(UTF-8)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유니코드(UTF-8) 방식은, 가변길이 문자 인코딩 방식 중 하나로 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1~4byte를 사용하여 표현한다.

 

유니코드(UTF-8) 방식은 현재 웹페이지를 만들때 다국어를 표현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HTML4, Xhtml, HTML5 방식의 프로세서로 홈페이지를 만들때 사용할 수 있다.

 

HTML5에서는 유니코드(UTF-8)를 기본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meta> 태그에서 설정할 수 있다.

'Web Programming Language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antic 태그, non-semantic 태그, div, span  (0) 2020.10.24
<a> </a> 태그  (0) 2020.10.21
HTML) 목록(리스트)을 표현하는 태그 <ul>, <ol>, <li>, <dl>  (0) 2020.10.21
herf 속성  (0) 2020.10.21
html 주석처리  (0) 2020.10.21

HTML에서의 주석

 

주석은 화면에 노출되지 않고 메모의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HTML 파일 내에 주석으로 표시를 해주면 브라우저는 해당 부분을 인식하여 해석하지 않게된다.

 

 

<!--                          -->

 

주석의 시작은 <!-- 로 표시하고, --> 표시로 종료한다.

 

'Web Programming Language >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mantic 태그, non-semantic 태그, div, span  (0) 2020.10.24
<a> </a> 태그  (0) 2020.10.21
HTML) 목록(리스트)을 표현하는 태그 <ul>, <ol>, <li>, <dl>  (0) 2020.10.21
herf 속성  (0) 2020.10.21
<meta charset="utf-8">  (0) 2020.10.21

프로그래밍 에디터 

atom, visual studio code 등 다중 선택 단축키

 

Ctrl + D : 문서에서 현재 선택된 단어와 동일한 다음 단어 선택

shift + F3 : 문서에서 현재 선택한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모두 선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