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를 거시적으로 바라보기
컴퓨터 네트워크를 학습하기 전에,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과 큰 그림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엔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와 핵심 요소를 거시적으로 살펴봅니다.
📌 네트워크를 거시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이유
✅ 네트워크는 데이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 파악하는 핵심 요소
✅ 전체 구조를 이해하면, 세부적인 기술과 프로토콜을 쉽게 학습할 수 있음
✅ 네트워크의 핵심 개념이 계속 반복되므로 처음부터 모든 용어를 암기할 필요 없음
🏗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
1️⃣ 네트워크는 그래프(Graph) 형태를 띔
네트워크는 자료구조에서의 "그래프(Graph)"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노드(Node)와 간선(Edge)로 이루어진 연결 구조를 가집니다.
🔹 그래프 구조 이해하기
- 노드(Node) = 컴퓨터, 서버, 스마트폰, 네트워크 장비 등
- 간선(Edge) = 유선 또는 무선 연결 (LAN, Wi-Fi, 광케이블 등)
📌 그래프 형태의 네트워크 예시
[스마트폰] --- Wi-Fi --- [공유기] --- 유선 --- [인터넷]
✅ 노드와 간선이 연결되며 네트워크를 형성
✅ 네트워크는 노드와 간선의 조합으로 동작
2️⃣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
📌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됨
✅ 1. 호스트 (Host) →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기기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
✅ 2.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 중간 노드 역할
✅ 3. 통신 매체 → 유선(LAN, 광케이블) / 무선(Wi-Fi, 5G)
✅ 4. 메시지 (Message) →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데이터
🔹 네트워크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려면?
✔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 호스트 (Host)
✔ 중간에 위치한 노드 → 네트워크 장비 (Network Device)
✔ 호스트와 장비를 연결하는 선 → 통신 매체 (유선/무선)
✔ 연결된 노드들이 주고받는 데이터 → 메시지 (Message)
3️⃣ 호스트 (Host)의 개념
📌 호스트(Host)란?
- 네트워크에서 최초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 사용자의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등이 대표적인 예
🔹 예제: 이메일 전송 과정
[스마트폰] → (이메일 전송) → [인터넷] → [상대방 컴퓨터]
✅ 이메일을 수신한 상대방 컴퓨터 = 호스트
4️⃣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개념
- 클라이언트 → 요청을 보내는 호스트
- 서버 → 요청을 처리하고 응답을 보내는 호스트
🔹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예시
[웹 브라우저] → (HTTP 요청) → [웹 서버] → (응답) → [웹 브라우저]
✅ 웹 브라우저(Chrome, Edge 등) = 클라이언트
✅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AWS, Nginx 등) = 서버
📌 중요한 점: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역할이 다를 뿐, 같은 장비에서 동작 가능
- 하나의 컴퓨터가 클라이언트이면서 서버 역할도 할 수 있음
- 예) 개발자가 자신의 노트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동시에 실행 가능
5️⃣ 네트워크 장비 (Network Devices)
📌 네트워크 장비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가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전달되도록 돕는 장치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
- 스위치(Switch)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 데이터 전송
- 방화벽(Firewall) → 보안 및 네트워크 보호 역할
✅ 네트워크 장비는 중간 노드 역할을 수행
✅ 호스트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
6️⃣ 통신 매체 (Transmission Medium)
📌 통신 매체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물리적인 연결 방식
- 유선 통신 매체 (LAN, 광케이블, 이더넷 등)
- 무선 통신 매체 (Wi-Fi, 블루투스, 5G 등)
📌 왜 개발자가 통신 매체를 알아야 할까?
✅ 네트워크 속도와 성능에 영향을 줌
✅ 개발한 프로그램이 특정 네트워크 환경에서 어떻게 동작할지 예측 가능
✅ 와이파이와 이더넷의 차이를 이해하면 최적화된 네트워크 설정이 가능
7️⃣ 네트워크에서 주고받는 메시지 (Message)
📌 메시지란?
네트워크에서 호스트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
- 웹 페이지 요청 및 응답 (HTTP Request / Response)
- 이메일 (SMTP, IMAP)
- 파일 전송 (FTP)
- 영상 스트리밍 (RTSP)
✅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전송됨
✅ 5장에서 HTTP 및 다양한 메시지 형식에 대해 학습할 예정
🏁 정리: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
📌 네트워크는 그래프(Graph) 형태의 구조를 가짐
📌 네트워크의 주요 요소
✅ 호스트 (Host)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기
✅ 네트워크 장비 (Router, Switch) → 데이터 전달을 돕는 중간 노드
✅ 통신 매체 (Wired, Wireless) → 데이터를 주고받는 경로
✅ 메시지 (Message) → 실제로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
📌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의 개념을 이해해야 함
📌 개발자가 네트워크 성능과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면 더욱 최적화된 프로그램 개발 가능
✍ 이 블로그 포스트를 통해 배운 점
-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와 그래프 개념
- 네트워크의 주요 요소 (호스트, 네트워크 장비, 통신 매체, 메시지)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 및 상호 작용 방식
- 개발자가 네트워크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출처:
혼자공부하는 네트워크 - 강민철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4.미시적 관점 (1)프로토콜 (0) | 2025.02.18 |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3.주소와 송수신지 유형에 따른 전송 방식 (0) | 2025.02.18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2.거시적 관점 (2)네트워크의 분류 (0) | 2025.02.18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1.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5.02.18 |
OSI 7계층 모델 (0) | 2024.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