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에서 주소(Address)와 전송 방식이 중요한 이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어떤 기기(호스트)로 데이터를 전송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에서는 주소(Address) 개념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 주소(Address)란?
네트워크에서 송신자(보내는 쪽)와 수신자(받는 쪽)를 특정하는 정보
- 주소가 없다면 데이터를 어디로 보내야 할지 알 수 없음
- 네트워크에서는 다양한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설계됨
✅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주소 체계 1️⃣ IP 주소 →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소
2️⃣ MAC 주소 →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장치 고유 주소
📌 이러한 주소 정보는 네트워크 패킷의 "헤더(Header)"에 포함되어 있음
📌 패킷이 송수신될 때 반드시 주소 정보가 필요함
🏗 네트워크 패킷(Packet)과 헤더(Header)의 역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패킷(Packet) 단위로 전달됨
패킷은 크게 헤더(Header), 페이로드(Payload), 트레일러(Trailer) 로 구성됨.
✅ 패킷 구조
[Header] | [Payload] | [Trailer]
- 헤더(Header): 송신자/수신자 주소, 패킷 번호 등 제어 정보 포함
- 페이로드(Payload): 실제 전송할 데이터
- 트레일러(Trailer): 오류 검출 정보
📌 헤더(Header)에 담기는 대표적인 정보 ✅ 송신자 주소 (Sender Address) → 패킷을 보낸 기기의 주소
✅ 수신자 주소 (Receiver Address) → 패킷을 받을 기기의 주소
✅ 기타 제어 정보 → 패킷 번호, 프로토콜 정보 등
🛠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송수신 유형)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 수신지를 특정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주로 네 가지 전송 방식이 존재합니다.
1️⃣ 유니캐스트(Unicast) - 1:1 전송
📌 특징
- 네트워크에서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방식
- 송신자가 특정한 하나의 수신자에게만 데이터를 전송
📌 예제
- 웹 브라우징 (내 PC → 구글 서버)
- 이메일 전송 (내 PC → 상대방 이메일 서버)
[송신자] → [수신자]
✅ 일반적인 네트워크 통신 방식
✅ 특정 기기 간의 개별 통신이 필요할 때 사용
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1:N 전송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
📌 특징
- 하나의 기기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에게 데이터를 전송
-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사용되며, 인터넷에서는 사용되지 않음
- 로컬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공유할 때 사용
📌 예제
- DHCP 요청 (IP 자동 할당)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MAC 주소 확인)
[송신자] → [네트워크 내 모든 수신자]
✅ 네트워크 내부에서 특정 정보 공유에 유용
✅ 하지만 불필요한 트래픽을 발생시킬 수 있음
📌 브로드캐스트 도메인(Broadcast Domain)이란?
- 브로드캐스트 메시지가 전달되는 네트워크 범위
- 보통 하나의 LAN(Local Area Network) 을 의미
- 라우터를 지나지 않음 (즉,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만 브로드캐스트 가능)
3️⃣ 멀티캐스트(Multicast) - 1:특정 그룹 전송
📌 특징
- 특정한 그룹(Group)에게만 데이터를 전송
-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의 중간 형태
📌 예제
- 화상 회의 (Zoom, Webex 등)
- 스트리밍 서비스 (IPTV, 스포츠 중계 등)
[송신자] → [특정 그룹]
✅ 브로드캐스트보다 효율적이고, 특정 그룹만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음
✅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를 활용하여 특정 기기만 데이터 수신 가능
4️⃣ 애니캐스트(Anycast) - 1:가장 가까운 서버로 전송
📌 특징
- 여러 개의 서버 중 가장 가까운 서버로 데이터 전송
- DNS, CDN(Content Delivery Network) 같은 서비스에서 많이 사용됨
📌 예제
- DNS 서버 요청 (Google DNS - 8.8.8.8)
- Cloudflare CDN (웹사이트 로딩 속도 향상)
[송신자] → [가장 가까운 서버]
✅ 빠른 응답 속도를 위해 최적의 서버로 연결
✅ 글로벌 서비스에서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
🎯 정리: 네트워크에서의 주소와 전송 방식
📌 네트워크에서 주소(Address)는 송수신지를 특정하는 핵심 정보
📌 헤더(Header)에 송신자/수신자 정보가 포함됨
📌 전송 방식은 네 가지로 구분됨
✅ 유니캐스트(Unicast) → 1:1 전송 (웹 브라우징, 이메일)
✅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1:N 전송 (DHCP, ARP 요청)
✅ 멀티캐스트(Multicast) → 1:특정 그룹 전송 (화상 회의, IPTV 스트리밍)
✅ 애니캐스트(Anycast) → 1:가장 가까운 서버로 전송 (DNS 요청, CDN)
📌 유니캐스트와 브로드캐스트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
📌 멀티캐스트와 애니캐스트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를 위해 활용
✍ 이 블로그 포스트를 통해 배운 점
- 네트워크에서 주소(Address)의 역할과 중요성
- 패킷(Packet) 구조와 헤더(Header)에 포함되는 정보
- 네트워크 전송 방식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 실무에서 사용되는 주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전송 방식
출처:
혼자공부하는 네트워크 - 강민철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4.미시적 관점 (1)프로토콜 (0) | 2025.02.18 |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2.거시적 관점 (2)네트워크의 분류 (0) | 2025.02.18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2.거시적 관점 (1)네트워크 기본 구조 (0) | 2025.02.18 |
혼공 네트워크) 01.컴퓨터 네트워크 시작 01.컴퓨터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5.02.18 |
OSI 7계층 모델 (0) | 2024.12.03 |